관계 RR 이 어떤 성질을 갖느냐에 따라 관계에 의미를 부여하여 그 의미에 따라 관계의 순서쌍을 구성하는 원소들을 활용할 수 있다.
관계에 부여되는 의미에는 동치 관계나 부분 순서 관계가 있는데, 동치 관계의 경우 그 관계의 순서쌍을 구성하는 원소들이 같은 의미라는 것을 뜻하며, 부분 순서 관계의 경우는 그 관계의 순서쌍을 구성하는 원소들 사이에 순서가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동치 관계(Equivalence Relation)
반사 관계, 대칭 관계, 추이 관계가 모두 성립하는 관계
동치는 표현이 달라도 의미가 같아서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 10진수 710710 과 2진수 11121112 이 표현은 다르지만 같은 값으로 사용되므로 동치라고 할 수 있다.
관계에서 동치 관계라고 하면 관계에 포함된 어떤 순서쌍 (a,b)(a,b) 에서 aa 와 bb 가 같은 의미임을 말한다.
예
집합 A={1,2,3}A={1,2,3} 에 대한 관계 R={(1,1),(1,2),(2,1),(2,2),(3,3)}R={(1,1),(1,2),(2,1),(2,2),(3,3)} 이 동치 관계인지 살펴보자.
이 관계 RR 을 관계 행렬로 표현하여 반사, 대칭, 추이 관계인지를 살펴 본다.
MR=[110110001]
① 주대각 원소가 모두 1이다.
관계 R 은 반사 관계이다.
② 주대각 원소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원소가 같은 값이다.
관계 R 은 대칭 관계이다.
③ 합성의 거듭 제곱으로 추이 관계인지 판별한다.
R2=R∘R=MR⊙MR[110110001]⊙[110110001]=[110110001]R3=R2∘R=MR⊙MR2=[110110001]⊙[110110001]=[110110001] ∴R3⊆R 이므로 관계 R 은 추이 관계이다.
위 과정에서 관계 R 이 반사, 대칭, 추이 관계를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R 은 동치 관계이다.
만약 어떤 관계 R 이 반사, 대칭, 추이 관계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한다면 그 관계는 동치 관계가 아니다.
동치류(Equivalence Class : [a])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동치 관계일 때, 집합 A 의 각 원소 a 와 순서쌍을 이루는 원소들의 집합 [a]={x|(a,x)∈R}
동치 관계에 포함되는 순서쌍 원소는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렇게 같은 의미인 원소를 모아 놓은 집합을 동치류라고 한다.
동치류는 분할(Partition)의 일부 특징을 갖는다.
동치류와 분할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동치 관계일 때, 동치류 집합 S={A1,A2,⋯,Ak} 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① i=1,2,⋯,k 일 때, Ai≠∅ ② ∪Ai=A (Ai⊆A) ③ i≠j 이면, Ai∩Aj=∅
예
집합 A={1,2,3} 에 대한 관계 R={(1,1),(1,2),(2,1),(2,2),(3,3)} 은 동치 관계임을 앞에서 증명하였다.
집합 A 의 각 원소에 대한 동치류는 다음과 같다.
[1]={1,2},[2]={1,2},[3]={3}
이 동치류에 대한 동치류 집합 S 는 {{1,2},{3}} 으로, A1={1,2},A2={3} 라 할 때 다음과 같이 분할의 특징을 갖는다.
① A1≠∅,A2≠∅ ② 2⋃i=1Ai=A(A1⊆A,A2⊆A) ③ A1∩A2=∅
부분 순서 관계(Partial Order Relation)
반사 관계, 반대칭 관계, 추이 관계가 성립하는 관계
관계의 원소인 순서쌍은 나열 순서에 의미가 있으므로 (a,b) 와 (b,a) 는 전혀 다른 순서쌍이다.
관계가 어떻게 정의되느냐에 따라 그 관계 안의 순서쌍을 구성하는 집합 원소가 항상 앞에만 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 어떤 관계 안에 순서쌍 (a,b) 는 존재하고 (b,a) 는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관계에서 a 는 항상 b 보다 앞에 오는 원소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형태의 순서쌍을 포함하는 관계를 '순서 관계를 갖는다'고 말한다.
어떤 관계 R 이 순서 관계를 가지려면 a≠b 일 때 (a,b)∈R 이면 (b,a)∉R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관계 R이 반대칭 관계이여만 순서 관계가 성립한다.
예
집합 A={1,2,3} 에 대한 관계 R={(1,1),(1,2),(1,3),(2,2),(3,3)} 이 부분 순서 관계인지 살펴보자.
MR=[111010001]
① 주대각 원소가 모두 1이다.
관계 R 은반사 관계이다.
② 주대각 원소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원소가 서로 다른 값이다.
관계 R 은반대칭 관계이다.
③ 합성의 거듭 제곱으로 추이 관계인지 판별한다.
R2=R∘R=MR⊙MR[111010001]⊙[111010001]=[111010001]R3=R2∘R=MR⊙MR2=[111010001]⊙[111010001]=[111010001] ∴R3⊆R 이므로 관계 R 은추이 관계이다.
그러므로 관계 R 은 반사, 반대칭, 추이 관계이므로 부분 순서 관계이다.
만약 관계 R 이 반사, 반대칭, 추이 관계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관계 R 은 부분 순서 관계일 수 없다.
부분 순서 집합(Partial Order Set)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부분 순서 관계일 때, 집합 A
부분 순서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 그 관계에 사용된 집합을 부분 순서 집합이라고 한다.
부분 순서 관계가 성립하면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 사이에 순서가 정해지는데, 이는 원소끼리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비교 가능(Comparable)과 비교 불가능(Noncomparable)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부분 순서 관계이고 a,b∈A 이고, (a,b)∈R 또는 (b,a)∈R 일 때, 'a 와 b 는 비교 가능'이라 하고, a⩽b((a,b)∈R인 경우) 또는 b⩽a((b,a)∈R인 경우) 로 표기한다. 반면, (a,b)∉R 또는 (b,a)∉R 일 때, 'a 와 b 는 비교 불가능' 이라 하고 a⩽̸b 또는 b⩽̸a 로 표기한다.
비교 가능한 원소 a,b 에 대해 a⩽b 는 a 의 값이 b 보다 작다는 의미가 아니라, 순서쌍에서 a 가 b 보다 앞에 옴을 의미한다.
예)
부분 순서 관계인 R={(1,1),(2,1),(2,2),(3,3),(3,4),(4,4)} 에서 (2,1) 의 경우 '2와 1은 비교 가능'이라고 하여 2⩽1 로 표기한다.
부분 순서 관계인 R={(a,b)∈N×N|a|b} 에서 (2,4) 의 경우 '2와 4는 비교 가능' 이라고 하며 2⩽4 로 표기한다.
반면, (2,5) 는 관계 R 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2와 5는 비교 불가능' 이라 하고 2⩽̸5 로 표기한다.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있을 때, 집합 A 의 일부 원소끼리만 비교 가능하면 관계 R 을 부분 순서 관계라고 한다.
예) 부분 순서 관계인 R={(1,1),(2,1),(2,2),(3,3),(3,4),(4,4)} 의 원소 중 1 과 3 또는 2와 4는 비교 불가능하다.
만약 부분 순서 집합의 모든 원소가 서로 비교 가능하면 그 관계를 완전 순서 관계라고 한다.
완전 순서 관계(Total Order Relation)과 완전 순서 집합(Total Order Set)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부분 순서 관계일 때, 집합 A 의 모든 원소가 그 관계에서 비교 가능하면 그 관계 R 을 완전 순서 관계라 하고, 집합 A 를 완전 순서 집합이라고 한다.
예 : R={(a,b)∈N×N|a≤b}
이 관계 R 은 반사, 반대칭, 추이 관계가 성립하는 부분 순서 관계로, 자연수 집합 N 에서 a≤b 인 모든 원소 b 가 원소 a 와 비교 가능하다.
즉, a=5 일 때, 자연수 집합 N 의 원소 중 5보다 크거나 같은 모든 원소는 a 와 비교 가능하다.
그러므로 관계 R 은 부분 순서 관계이면서 완전 순서 관계이다.
하세 도표(Hasse Diagram)
방향 그래프에 부분 순서 관계의 특징을 적용한 부분 순서 관계 표기 방법 하세 도표의 예
하세 도표는 방향 그래프와 부분 순서 관계의 특징을 이용하여 도표로 나타냄으로서 관계를 표기하는 방법이다.
하세 도표는 독일의 수학자 헬무트 하세(Helmut Hasse)가 착안한 표기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라 그린다.
하세 도표 그리는 규칙
[규칙 ①]방향 그래프에서 루프를 생략한다. [규칙 ②]a≠b 인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 a,b∈A 에 대하여 (a,b)∈R 이면 정점 a 를 정점 b 보다 아래쪽에 그린다. [규칙 ③]a≠b≠c 인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 a,b,c∈A 에 대하여 (a,b)∈R,(b,c)∈R,(a,c)∈R 일 때, 정점 a 에서 정점 c 로 가는 선만 그리고 정점 a 에서 정점 b, 정점 b 에서 정점 c 로 가는 선은 생략한다.
어떤 관계의 하세 도표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은 이미 그 관계가 부분 순서 관계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하세 도표를 그리는 규칙은 부분 순서 관계가 성립하는 특징인 반사 관계, 반대칭 관계, 추이 관계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세 도표를 그리는 각 규칙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규칙 ①] 부분 순서 관계가 성립하는 관계 R 은 반사 관계가 당연히 성립하므로 굳이 표시하지 않는다. [규칙 ②] 부분 순서 관계가 성립하는 관계 R 은 반대칭 관계가 당연히 성립하므로 (a,b)∈R 일 때 (b,a)∉R 이고 a⩽b 이므로 a 가 b 보다 앞에 온다는 개념으로 아래쪽에 표시한다. [규칙 ③] 부분 순서 관계가 성립하는 관계 R 은 추이 관계가 당연히 성립하므로 (a,b)∈R,(b,c)∈R,(a,c)∈R 일 때, 정점 a 에서 정점 c 로 가는 두 종류의 경로 중 짧은 경로 하나만 표시한다.
예 : 하세 도표 그리기
집합 A={1,2,3} 에 대한 관계 R={(1,1),(1,2),(1,3),(2,2),(3,3)} 은 부분 순서 집합이다. 관계 R 의 하세 도표를 그려보자.
① 관계 R 에 포함된 순서쌍 중 (1,2),(1,3) 에서 a⩽2,1⩽3 임을 알 수 있으므로 1을 2나 3보다 아래쪽에 표시한다. ② (2,3)∉R,(3,2)∉R 이므로 2와 3은 비교 불가능한 원소이다. 이렇게 비교 불가능한 원소 사이에서는 선을 그리지 않는다. ③ (1,2),(2,2),(3,3) 에 대한 루프를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④ (1,2),(1,3) 에 대해 1과 2, 1과 3 사이에 직선을 그린다.
관계 R의 하세 도표
부분 순서 관계는 부분 순서 집합에 속한 원소 사이의 순서를 알 수 있는 관계이다.
그러므로 어떤 원소가 위쪽에 위치하는지, 혹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관계이기도 하다.
극대 원소(Maximal Element)
부분 순서 집합 A 의 원소 a 에 대해 a⩽b 인 원소 b 가 집합 A 에 존재하지 않을 때 원소 a
극소 원소(Minimal Element)
부분 순서 집합 A 의 원소 a 에 대해 b⩽a 인 원소 b 가 집합 A 에 존재하지 않을 때 원소 a
최대 원소(Greatest Element)
부분 순서 집합 A 의 모든 원소 a 에 대해 a⩽b 인 집합 A 의 원소 b
최소 원소(Least Element)
부분 순서 집합 A 의 모든 원소 a 에 대해 b⩽a 인 집합 A 의 원소 b
하세 도표에서 극대 원소나 최대 원소는 선으로 연결된 원소 중 가장 위에 표시된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이다.
극대 원소는 가장 위에 위치한 모든 원소를 말한다.
최대 원소는 가장 위에 위치한 원소가 오직 하나만 있을 때만 의미한다.
그러므로 부분 순서 집합에서 극대 원소는 1개 이상이지만, 최대 원소는 1개이거나 없을 수도 있다.
하세 도표에서 극소 원소나 최소 원소는 선으로 연결된 원소 중 가장 아래에 표시된 부분 순서 집합의 원소이다.
극소 원소는 가장 아래에 위치한 모든 원소를 말한다.
최소 원소는 가장 아래에 위치한 원소가 오직 하나만 있을 때만 의미한다.
그러므로 부분 순서 집합에서 극소 원소는 1개 이상이지만, 최소 원소는 1개이거나 없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