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관계의 성질
- 하나의 집합에 대한 관계의 경우, 순서쌍 원소의 구성에 따라 관계의 성질을 판별할 수 있다.
- 관계의 성질에는 반사, 비반사, 대칭, 반대칭, 추이 5가지가 있다.
반사 관계와 비반사 관계
반사 관계(Reflexive Relation)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있을 때, 모든 $a ∈ A$ 에 대해 $(a, a) ∈ R$ 인 관계 ($Δ_{A} = \{ (a, a) \; | \; a ∈ A \}$)
비반사 관계(Irreflexive Relation)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있을 때, 모든 $a ∈ A$ 에 대해 $(a, a) \not ∈ R$ 인 관계
-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반사 관계이려면, 집합 `A` 에 포함되는 모든 원소 `a` 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 `(a, a)` 가 관계 `R` 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즉, 집합 `A` 의 원소 중 하나에 대해서라도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이 관계 `R` 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관계 `R` 은 반사 관계가 아니다.
- 반면, 관계 `R` 을 만드는 집합 `A` 의 모든 원소 `a` 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 `(a, a)` 가 관계 `R` 에 하나도 포함되지 않으면 관계 `R` 은 비반사 관계이다.
- 즉, 집합 `A` 의 원소 중 하나에 대해서라도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이 관계 `R` 에 포함된다면 관계 `R` 은 비반사 관계가 아니다.
예
- $A = \{ 1, 2, 3 \}$ 에 대하여 `A` 에서 `A` 로 가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고 가정하자.
$$R_{1} = \{(1, 1), (1, 2), (2, 2), (2, 3), (3, 3) \} \\ R_{2} = \{(1, 1), (2, 1), (2, 2), (3, 1), (3, 2) \} \\ R_{3} = \{(1, 2), (1, 3), (2, 1), (2, 3), (3, 1), (3, 2) \}$$ |
- 관계 $R_{1}$ 의 경우, 집합 `A` 에 포함된 모든 원소 1, 2, 3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 `(1, 1), (2, 2), (3, 3)` 을 원소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관계 `R_{1}` 은 반사 관계이다.
- 반면, 관계 `R_{2}` 는 집합 `A` 의 원소 중 3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 `(3, 3)` 을 포함하지 않고, 관계 `R_{3}` 는 집합 `A` 의 모든 원소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을 포함하지 않는다.
- 이렇게 관계 `R_{2}` 와 `R_{3}` 처럼 관계를 만드는 집합의 원소 중 하나라도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을 관계에 포함하지 않으면 반사 관계가 아니다.
- 다만, 관계 `R_{3}` 의 경우, 집합 `A` 의 모든 원소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을 하나도 포함하지 않으므로 비반사 관계이다.
- 그러나 관계 `R_{1}` 과 같이 집합 `A` 의 모든 원소에 대해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을 갖거나, 관계 `R_{2}` 와 같이 집합 `A` 의 원소 중 일부에 대해서만 자기 자신과 대응하는 순서쌍을 갖는 관계는 비반사 관계가 아니다.
- 정리하면, 관계 `R_{1}` 은 반사 관계이고, 관계 `R_{3}` 는 비반사 관계이며, 관계 `R_{2}` 는 반사 관계도 비반사 관계도 아니다.
- 반사 관계의 경우, 다음 그림처럼 관계 행렬로 표현하면 행렬의 주대각 원소가 모두 1이고,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모든 꼭지점이 루프를 갖는다.
- 비반사 관계의 경우, 다음 그림처럼 관계 행렬의 주대각 원소는 모두 0이고, 방향 그래프의 모든 꼭짓점은 루프를 갖지 않는다.
- 반사 관계 `R_{1}` 을 관계 행렬과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quad \quad \quad \quad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 M_{R_{1}} =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begin{bmatrix} 1 & 1 & 0 \\ 0 & 1 & 1 \\ 0 & 0 & 1 \end{bmatrix}$$ |
- 반사 관계 `R_{3}` 을 관계 행렬과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quad \quad \quad \quad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 M_{R_{1}} =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begin{bmatrix} 0 & 1 & 1 \\ 1 & 0 & 1 \\ 1 & 1 & 1 \end{bmatrix}$$ |
- 반사 관계도, 비반사 관계도 아닌 관계의 관계 행렬의 주대각 원소는 0과 1이 섞여 있으며, 방향 그래프는 루프가 있는 꼭짓점과 루프가 없는 꼭짓점이 섞여 있다.
대칭 관계와 반대칭 관계
대칭 관계(Symmetric Relation)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있을 때, 어떤 `a, b ∈ A` 애 대해 `(a, b) ∈ R` 이면 `(b, a) ∈ R` 인 관계
반대칭 관계(Antisymmetric Relation)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있을 때, 어떤 `a, b ∈ A` 애 대해 `(a, b) ∈ R` 이고 `(b, a) ∈ R` 이면 `a = b` 인 관계
- 관계 `R` 이 대칭 관계이려면 어떤 순서쌍 `(a, b)` 가 관계 `R` 에 포함될 때 `(b, a)` 도 관계 `R` 에 포함되어야 한다.
- 이 때, `a = b` 이든, `a ≠ b` 이든 상관없다.
- 반대칭 관계의 경우에는 `(a, b)` 가 관계 `R` 에 포함될 때 `a ≠ b` 라면, `(b, a)` 가 관계 `R` 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예
- $A = \{ 1, 2, 3 \}$ 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고 가정하자.
$$R_{1} = \{(1, 1), (1, 2), (1, 3), (2, 1), (2, 3), (3, 1), (3, 2) \} \\ R_{2} = \{(1, 1), (1, 2), (2, 3), (3, 1) \} \\ R_{3} = \{(1, 2), (1, 3), (2, 1), (2, 3), (3, 1), (3, 2) \} \\ R_{4} = \{(1, 1), (3, 3) \}$$ |
- 관계 `R_{1}` 에 포함된 순서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1) ∈ R_{1}$ 일 때, `1 = 1` 이고 `(1, 1) ∈ R_{1}`
- $(1, 2) ∈ R_{1}$ 일 때, `1 ≠ 2` 이고 `(2, 1) ∈ R_{1}`
- $(1, 3) ∈ R_{1}$ 일 때, `1 ≠ 3` 이고 `(3, 1) ∈ R_{1}`
- $(2, 1) ∈ R_{1}$ 일 때, `2 ≠ 1` 이고 `(1, 2) ∈ R_{1}`
- $(2, 3) ∈ R_{1}$ 일 때, `2 ≠ 3` 이고 `(3, 2) ∈ R_{1}`
- $(3, 1) ∈ R_{1}$ 일 때, `3 ≠ 1` 이고 `(1, 3) ∈ R_{1}`
- $(3, 2) ∈ R_{1}$ 일 때, `3 ≠ 2` 이고 `(2, 3) ∈ R_{1}`
- 위에서 알 수 있듯이 `a = b` 이든, `a ≠ b` 이든 상관 없이 관계 `R_{1}` 에 포함된 모든 순서쌍 `(a, b)` 에 대해 `(b, a)` 가 관계 `R_{1}` 에 포함되므로 관계 `R_{1}` 은 대칭 관계이다.
- 반면, `(1, 2), (2, 1)` 처럼 `a ≠ b` 인데 순서쌍 `(a, b)` 와 `(b, a)` 가 모두 `R_{1}` 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관계 `R_{1}` 은 반대칭 관계가 아니다.
- 정리하면 관계 `R_{1}` 은 대칭 관계이지만 반대칭 관계는 아니다.
- 관계 `R_{2}` 에 포함된 순서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1) ∈ R_{2}$ 일 때, `1 = 1` 이고 $(1, 1) ∈ R_{2}$
- $(1, 2) ∈ R_{2}$ 일 때, `1 ≠ 2` 이고 $(2, 1) \not ∈ R_{2}$
- $(2, 3) ∈ R_{2}$ 일 때, `2 ≠ 3` 이고 $(3, 2) \not ∈ R_{2}$
- $(3, 1) ∈ R_{2}$ 일 때, `3 ≠ 1` 이고 $(1, 3) \not ∈ R_{2}$
- 관계 `R_{2}` 에 포함된 순서쌍 중 `a ≠ b` 인 `(a, b)` 에 대해서는 `(b, a)` 가 존재하지 않고, `(1, 1)` 처럼 `a = b` 인 순서쌍은 `R_{2}` 에 포함되므로 관계 `R_{2}` 는 대칭 관계는 아니지만 반대칭 관계이다.
- 관계 `R_{2}` 와 같이 반대칭 관계이려면 `a ≠ b` 인 `(a, b)` 에 대해서는 `(b, a)` 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 관계 `R_{3}` 에 포함된 순서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2) ∈ R_{3}$ 일 때, `1 ≠ 2` 이고 $(2, 1) ∈ R_{3}$
- $(1, 3) ∈ R_{3}$ 일 때, `1 ≠ 3` 이고 $(3, 1) ∈ R_{3}$
- $(2, 1) ∈ R_{3}$ 일 때, `2 ≠ 1` 이고 $(1, 2) ∈ R_{3}$
- $(3, 1) ∈ R_{3}$ 일 때, `3 ≠ 1` 이고 $(1, 3) ∈ R_{3}$
- $(3, 2) ∈ R_{3}$ 일 때, `3 ≠ 2` 이고 $(2, 3) \not ∈ R_{3}$
- 관계 `R_{3}` 에 포함된 순서쌍은 모두 `a ≠ b` 이다.
- 관계 `R_{3}` 의 순서쌍 `(1, 2), (1, 3), (2, 1), (3, 1)` 은 `(a, b)` 에 대해 `(b, a)` 가 관계 `R_{3}` 에 포함되지만, `(3, 2)` 의 경우 `(2, 3)` 이 관계 `R_{3}` 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관계 `R_{3}` 는 대칭 관계가 아니다.
- 또한 `(1, 2), (1, 3)` 은 이에 대칭되는 `(2, 1), (3, 1)` 이 관계 `R_{3}` 에 포함되므로 반대칭 관계도 아니다.
- 정리하면 관계 `R_{3}` 는 대칭 관계도 아니고 반대칭 관계도 아니다.
- 관계 `R_{4}` 는 `a = b` 이든 `a ≠ b` 이든 상관없이 모든 순서쌍 `(a, b)` 에 대해 `(b, a)` 를 포함하므로 대칭 관계임을 알 수 있고, 두 순서쌍 `(1, 1), (3, 3)` 모두 `a = b` 이므로 반대칭 관계임을 알 수 있다.
- 그러므로 관계 `R_{4}` 는 대칭 관계이면서 반대칭 관계이다.
-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대칭 관계가 아니라고 해서 반대칭 관계이거나, 반대칭 관계가 아니라고 해서 대칭 관계인 것은 아니다.
- 대칭 관계와 반대칭 관계는 양립 관계가 아니다.
- 관계 `R_{3}` 처럼 대칭 관계도, 반대칭 관계도 아닐 수 있고, `R_{4}` 처럼 둘 다일 수도 있다.
- 대칭 관계를 관계 행렬이나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관계 행렬은 주대각 원소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원소가 같은 값인 형태이다.
- 방향 그래프는 루프가 존재하거나, 두 점 사이에 반드시 양방향 화살표가 존재해야 한다.
- 대칭 관계 `R_{1}` 을 관계 행렬과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quad \quad \quad \quad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 M_{R_{1}} =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begin{bmatrix} 1 & 1 & 1 \\ 1 & 0 & 1 \\ 1 & 1 & 0 \end{bmatrix}$$ |
- 반대칭 관계를 관계 행렬이나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관계 행렬은 주대각 원소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주보는 원소가 모두 0이거나 서로 달라야 한다.
- 어떤 원소와 그에 대칭으로 대응하는 원소가 모두 0이면 관계에 해당 순서쌍들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상관 없지만, 관계 행렬에서 어떤 원소가 1이면 이 원소와 대칭으로 마주보는 원소는 0이어야 반대칭 관계로 판단할 수 있다.
- 방향 그래프는 단방향 화살표나 루프만 존재해야 한다.
- 관계 행렬은 주대각 원소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주보는 원소가 모두 0이거나 서로 달라야 한다.
- 반대칭 관계 `R_{2}` 를 관계 행렬과 방향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quad \quad \quad \quad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 M_{R_{1}} = \begin{matrix} 1 \\ 2 \\ 3 \end{matrix} \begin{bmatrix} 1 & 1 & 0 \\ 0 & 0 & 1 \\ 1 & 0 & 0 \end{bmatrix}$$ |
추이 관계
추이 관계(Transitive Relation)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이 있을 때, 어떤 `a, b, c ∈ A` 에 대해 `(a, b) ∈ R` 이고, `(b, c) ∈ R` 이면 `(a, c) ∈ R` 인 관계
- 추이 관계인지 확인하려면 관계 `R` 에 포함된 모든 순서쌍을 살펴보아야 한다.
예
- $A = \{ 1, 2, 3 \}$ 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고 가정하자.
$$R_{1} = \{(1, 1), (1, 2), (1, 3), (2, 1), (2, 2), (2, 3) \} \\ R_{2} = \{(1, 2), (1, 3), (2, 3), (3, 2) \} $$ |
- 관계 `R_{1}` 에서 첫 번째 순서쌍 `(1, 1)` 의 뒤의 원소 1을 앞의 원소로 갖는 순서쌍은 `(1, 1), (1, 2), (1, 3)` 이다.
- 이 중, `(1,1)` 에서 앞의 원소 1을 앞의 원소로 하고, `(1, 2)` 에서 뒤의 원소 2를 뒤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1, 2)` 가 관계 `R_{1}` 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1, 1) ∈ R_{1}$ 이고, $(1, 2) ∈ R_{1}$ 일 때, $(1, 2) ∈ R_{1}$
- 이러한 방식으로 관계 `R_{1}` 에 포함된 모든 순서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1, 1)` 의 뒤의 원소 1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1, 1), (1, 2), (1, 3)`
- $(1, 1) ∈ R_{1}$ 이고, $(1, 1) ∈ R_{1}$ 일 때, $(1, 1) ∈ R_{1}$
- $(1, 1) ∈ R_{1}$ 이고, $(1, 2) ∈ R_{1}$ 일 때, $(1, 2) ∈ R_{1}$
- $(1, 1) ∈ R_{1}$ 이고, $(1, 3) ∈ R_{1}$ 일 때, $(1, 3) ∈ R_{1}$
- (2) `(1, 2)` 의 뒤의 원소 2를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2, 1), (2, 2), (2, 3)`
- $(1, 2) ∈ R_{1}$ 이고, $(2, 1) ∈ R_{1}$ 일 때, $(1, 1) ∈ R_{1}$
- $(1, 2) ∈ R_{1}$ 이고, $(2, 2) ∈ R_{1}$ 일 때, $(1, 2) ∈ R_{1}$
- $(1, 2) ∈ R_{1}$ 이고, $(2, 3) ∈ R_{1}$ 일 때, $(1, 3) ∈ R_{1}$
- (3) `(1, 3)` 의 뒤의 원소 3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은 `R_{1}` 에 없으므로 추이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 (4) `(2, 1)` 의 뒤의 원소 1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1, 1), (1, 2), (1, 3)`
- $(2, 1) ∈ R_{1}$ 이고, $(1, 1) ∈ R_{1}$ 일 때, $(2, 1) ∈ R_{1}$
- $(2, 1) ∈ R_{1}$ 이고, $(1, 2) ∈ R_{1}$ 일 때, $(2, 2) ∈ R_{1}$
- $(2, 1) ∈ R_{1}$ 이고, $(1, 3) ∈ R_{1}$ 일 때, $(2, 3) ∈ R_{1}$
- (5) `(2, 2)` 의 뒤의 원소 2를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2, 1), (2, 2), (2, 3)`
- $(2, 2) ∈ R_{1}$ 이고, $(2, 1) ∈ R_{1}$ 일 때, $(2, 1) ∈ R_{1}$
- $(2, 2) ∈ R_{1}$ 이고, $(2, 2) ∈ R_{1}$ 일 때, $(2, 2) ∈ R_{1}$
- $(2, 2) ∈ R_{1}$ 이고, $(2, 3) ∈ R_{1}$ 일 때, $(2, 3) ∈ R_{1}$
- (6) `(2, 3)` 의 뒤의 원소 3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은 `R_{1}` 에 없으므로 추이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 (1) `(1, 1)` 의 뒤의 원소 1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1, 1), (1, 2), (1, 3)`
- 그러므로 관계 `R_{1}` 에 포함되는 순서쌍 중 추이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1, 3), (2, 3)` 을 제외한 모든 순서쌍 사이에 추이 관계가 성립하므로, 관계 `R_{1}` 은 추이 관계이다.
- 추이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순서쌍은 그 순서쌍의 뒤의 원소를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 예) $R = \{ (1, 3) \}$ 과 같은 관계가 있을 경우, 관계 `R` 에 포함된 순서쌍 `(1, 3)` 은 앞의 원소가 3인 다른 순서쌍이 관계 `R` 에 없으므로 추이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순서쌍이다. 그러므로 관계 `R` 은 추이 관계가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 추이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순서쌍은 그 순서쌍의 뒤의 원소를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 `R_{2}` 에 포함된 모든 순서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 `(1, 2)` 의 뒤의 원소 2를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2, 3)`
- $(1, 2) ∈ R_{2}$ 이고, $(2, 3) ∈ R_{2}$ 일 때, $(1, 3) ∈ R_{2}$
- (2) `(1, 3)` 의 뒤의 원소 3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3, 2)`
- $(1, 3) ∈ R_{2}$ 이고, $(3, 2) ∈ R_{2}$ 일 때, $(1, 2) ∈ R_{2}$
- (3) `(2, 3)` 의 뒤의 원소 3을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3, 2)`
- $(2, 3) ∈ R_{2}$ 이고, $(3, 2) ∈ R_{2}$ 일 때, $(2, 2) \not ∈ R_{2}$
- (1) `(1, 2)` 의 뒤의 원소 2를 앞의 원소로 하는 순서쌍 : `(2, 3)`
- 여기서 `(2, 3)` 과 `(3, 2)` 는 관계 `R_{2}` 에 포함되지만 두 순서쌍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순서쌍 `(2, 2)` 는 관계 `R_{2}` 에 포함되지 않는다.
- 그러므로 관계 `R_{2}` 는 추이 관계가 아니다.
- 관계 `R_{2}` 처럼 하나의 순서쌍이라도 추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면 그 관계는 추이 관계가 아니다.
집합 `A` 에 대한 관계 $R = \varnothing$ 의 성질
- 집합 `A` 의 모든 원소 `a ∈ A` 에 대해 $(a, a) \not ∈ R$
- ∴ `R` 은 반사 관계가 아니고 비반사 관계이다.
- 관계 `R` 을 관계 행렬로 표현하면 주대각 원소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마주보는 원소가 모두 0으로 서로 대응한다.
- $\displaystyle M_{R} = \begin{bmatrix} 0 & 0 & \cdots & 0 \\ 0 & 0 & \cdots & 0 \\ \cdots & \cdots & \cdots & \cdots \\ 0 & 0 & \cdots & 0 \end{bmatrix}$
- ∴ `R` 은 대칭 관계이고 반대칭 관계이다.
- 관계 `R` 은 추이 관계를 고려할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 ∴ `R` 은 추이 관계이다.
728x90
728x90
'Mathematics > 이산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 수학] 함수의 개념 (0) | 2022.11.14 |
---|---|
[이산 수학] 동치 관계와 부분 순서 관계 (0) | 2022.11.06 |
[이산 수학] 관계의 폐포 (0) | 2022.11.06 |
[이산 수학] 합성 관계 (0) | 2022.10.31 |
[이산 수학] 관계의 표현 (0) | 2022.10.29 |
[이산 수학] 관계의 개념 (0) | 2022.10.29 |
[이산 수학] 집합의 분할 (0) | 2022.10.22 |
[이산 수학] 집합의 대수 법칙 (0) | 2022.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