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도수 분포표에서의 평균과 분산
- 도수 분포표로 주어진 자료는 각 계급 안의 도수는 알지만 정확한 자료값을 알지 못한다. 이런 경우에는 각 계급의 계급값을 이용하여 대푯값으로 생각한다.
- 예) 계급 간격이 9.5 ~ 18.5인 계급의 도수가 10이면, 이 계급 안의 정확한 자료값을 알 수 없으므로 10개의 자료값을 계급값 14로 생각한다.
도수 분포표에서의 평균
- 도수 분포표에서 주어진 자료의 평균을 구하기 위해 각 계급의 계급값을 이용한다.
예
10 | 37 | 22 | 32 | 18 | 15 | 15 | 18 | 22 | 15 |
20 | 25 | 38 | 28 | 25 | 30 | 20 | 22 | 18 | 22 |
22 | 12 | 22 | 26 | 22 | 32 | 22 | 23 | 20 | 23 |
23 | 20 | 25 | 51 | 20 | 25 | 26 | 22 | 26 | 28 |
28 | 20 | 23 | 30 | 12 | 22 | 35 | 11 | 20 | 25 |
- 위의 자료의 평균을 구하면 ¯x=23.36 이다.
- 이 자료에 대해 계급의 수가 5인 도수 분포표를 구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 도수 분포표에는 각 계급 안에 들어있는 자료의 수는 알 수 있지만, 정확한 자료값은 알 수 없다.
계급 간격 | 도수(fi) | 상대 도수 | 계급값(xi) |
9.5 ~ 18.5 | 10 | 0.20 | 14 |
18.5 ~ 27.5 | 29 | 0.58 | 23 |
27.5 ~ 36.5 | 8 | 0.16 | 32 |
36.5 ~ 45.5 | 2 | 0.04 | 41 |
45.5 ~ 54.5 | 1 | 0.02 | 50 |
합계 | 50 | 1.00 |
- 따라서 각 계급의 자료값을 계급값으로 대치하여 다음과 같이 평균을 구한다.
¯x=15(14+⋯+14+23+⋯+23+32+⋯+32+41+41+50)
=150(14×10+23×29+32×8+41×2+50×1)
=119550=23.9
- 다시 말해, 도수 분포표에 의한 자료의 평균은 다음과 같이 각 계급의 도수(fi)와 계급값(xi)의 곱의 합을 전체 도수(n)로 나눈 값이다.
¯x=1nk∑i=1xifi
- 또는 평균을 구하는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x=14×1050+23×2950+32×850+41×250+50×150=119550=23.9
- 이 때 fin 는 i 번째 계급의 상대 도수이므로, 도수 분포표에 의한 평균은 각 계급의 도수와 상대도수의 곱들의 합인 것을 알 수 있다.
¯x=1nk∑i=1xifi=n∑i=1(fin)xi
- 그러면 정확한 평균 23.36과 도수 분포표에 의한 평균 23.9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예제 : 다음 도수 분포표에 의한 자료의 평균을 구하라.
계급 간격 | 도수 |
11.5 ~ 21.5 | 6 |
21.5 ~ 31.5 | 15 |
31.5 ~ 41.5 | 20 |
41.5 ~ 51.5 | 8 |
51.5 ~ 61.5 | 1 |
합계 | 50 |
해설 보기
각 계급의 계급값을 구하면 16.5, 26.5, 36.5, 46.5, 56.5이고, 해당하는 계급의 도수가 각각 6, 15, 29, 8, 1 이므로 도수 분포표에 대한 평균은 다음과 같다.
¯x=150(16.5×6+26.5×15+36.5×29+46.5×8+56.5×1)=165550=33.1
도수 분포표에서의 분산과 표준 편차
- 도수 분포표에 의한 분산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① 도수 분포표에 의한 평균 ¯x 를 구한다.
② 각 계급의 계급값과 평균의 편차 xi−¯x 를 구한다.
③ ②에서 구한 편차의 제곱 (xi−¯x)2 을 구한다.
④ 편차의 제곱과 도수의 곱 (xi−¯x)2fi 를 구한다.
⑤ (xi−¯x)2fi 의 합 A 를 구한다.
⑥ A 를 n-1 로 나눈다.
예
10 | 37 | 22 | 32 | 18 | 15 | 15 | 18 | 22 | 15 |
20 | 25 | 38 | 28 | 25 | 30 | 20 | 22 | 18 | 22 |
22 | 12 | 22 | 26 | 22 | 32 | 22 | 23 | 20 | 23 |
23 | 20 | 25 | 51 | 20 | 25 | 26 | 22 | 26 | 28 |
28 | 20 | 23 | 30 | 12 | 22 | 35 | 11 | 20 | 25 |
계급 간격 | 도수(fi) | 계급값(xi) | xi−¯x | (xi−¯x)2 | (xi−¯x)2fi |
9.5 ~ 18.5 | 10 | 14 | -9.9 | 98.01 | 980.10 |
18.5 ~ 27.5 | 29 | 23 | -0.9 | 0.81 | 23.49 |
27.5 ~ 36.5 | 8 | 32 | 8.1 | 65.61 | 524.88 |
36.5 ~ 45.5 | 2 | 41 | 17.1 | 292.41 | 584.82 |
45.5 ~ 54.5 | 1 | 50 | 26.1 | 681.21 | 681.21 |
합계 | 50 | 2794.5 |
- 구하고자 하는 분산과 표준 편차는 다음과 같다.
s2=1495∑i=1(xi−¯x)2fi=2794.549≒57.03,s=√57.03≒7.552
- 따라서 각 계급값이 각각 x1,x2,⋯,xk 이고, 계급의 도수가 각각 f1,f2,⋯,fk 인 도수 분포표에 의한 자료의 분산과 표준 편차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한다.
s2=1n−1k∑i=1(xi−¯x)2fi,s=√1n−1k∑i=1(xi−¯x)2fi
728x90
728x90
'Mathematics > 확률과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 베이즈 정리 (0) | 2022.10.31 |
---|---|
[확률과 통계] 조건부 확률 (0) | 2022.10.31 |
[확률과 통계] 확률 (0) | 2022.10.31 |
[확률과 통계] 시행과 사건 (0) | 2022.10.31 |
[확률과 통계] 위치 척도와 상자 그림 (0) | 2022.10.11 |
[확률과 통계] 산포도 (1) | 2022.10.10 |
[확률과 통계] 대푯값 (0) | 2022.10.10 |
[확률과 통계] 양적 자료의 정리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