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스택(Stack)
스택(Stack)
- 선입후출(First In Last Out, FILO) 또는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LIFO)의 특징을 갖는 자료구조
- 스택은 한쪽만 뚫려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삽입과 추출이 한쪽에서만 진행된다.
- 스택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동작을 push(푸시)라고 하며,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을 pop(팝)이라고 한다.
- 스택에서는 top(톱)이라는 용어가 중요한데, 현재 스택에 들어 있는 가장 위의 데이터 위치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구현
① 스택의 초기화
SIZE = 5 # 스택의 크기 stack = [None for _ in range(SIZE)] top = -1
② 데이터 삽입
스택이 꽉 찼는지 확인하는 함수
- 먼저 스택이 꽉 찼는지 확인한 후 스택에 여유 공간이 있을 때 데이터를 삽입해야 한다.
- top 값이 '스택 크기-1' 과 같다면 스택이 꽉 찬 상태이다.
if (top값 == 스택크기-1) : 스택이 꽉 찼음.
함수 완성하기
def isStackFull()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SIZE-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SIZE = 5 stack = ["커피", "녹차", "꿀물", "콜라", "환타"] top = 4 print("스택이 꽉 찼는지 여부 ==>", isStackFull())
결과 보기
스택이 꽉 찼는지 여부 ==> True
스택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함수
- 먼저 스택이 꽉 찼는지 확인하고, 여유가 있을 경우 데이터를 삽입한다.
def isStackFull()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SIZE-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push(data) : global SIZE, stack, top if (isStackFull()) : print("스택이 꽉 찼습니다.") return top += 1 stack[top] = data SIZE = 5 stack = ["커피", "녹차", "꿀물", "콜라", None] top = 3 print(stack) push("환타") print(stack) push("게토레이")
결과 보기
['커피', '녹차', '꿀물', '콜라', None] ['커피', '녹차', '꿀물', '콜라', '환타'] 스택이 꽉 찼습니다.
isStackFull() 함수를 없애고, push() 함수만으로 기능 구현하기
def push(data)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SIZE - 1): # * print("스택이 꽉 찼습니다.") return top += 1 stack[top] = data SIZE = 5 stack = ["커피", "녹차", "꿀물", "콜라", None] top = 3 print(stack) push("환타") print(stack) push("게토레이")
③ 데이터 추출
-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스택에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스택에 데이터가 없는데도 데이터를 추출하려고 시도할 때는 별도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스택이 비었는지 확인하는 함수
- top 값이 -1이라면 스택은 비어 있는 상태이다.
if (top값 == -1) : 스택이 비었음.
함수 완성하기
def isStackEmpty()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SIZE = 5 stack = [None for _ in range(SIZE)] top = -1 print("스택이 비었는지 여부 ==>", isStackEmpty())
결과 보기
스택이 꽉 찼는지 여부 ==> True
스택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함수
def isStackEmpty()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pop() : global SIZE, stack, top if (isStackEmpty()) : print("스택이 비었습니다.") return None data = stack[top] stack[top] = None top -= 1 return data SIZE = 5 stack = ["커피", None, None, None, None] top = 0 print(stack) retData = pop() print("추출한 데이터 -->", retData) print(stack) retData = pop()
결과 보기
['커피', None, None, None, None] 추출한 데이터 --> 커피 [None, None, None, None, None] 스택이 비었습니다.
isStackEmpty() 함수를 없애고, pop() 함수만으로 기능 구현하기
def pop()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1) : # * print("스택이 비었습니다.") return data = stack[top] stack[top] = None top -= 1 return data SIZE = 5 stack = ["커피", None, None, None, None] top = 0 print(stack) retData = pop() print("추출한 데이터 -->", retData) print(stack) retData = pop()
④ 데이터 확인
- top 위치의 데이터를 확인만 하고 스택에 그대로 두는 것을 Peek(픽)이라고 한다.
def isStackEmpty()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peek() : global SIZE, stack, top if (isStackEmpty()) : print("스택이 비었습니다.") return None return stack[top] SIZE = 5 stack = ["커피", "녹차", "꿀물", None, None] top = 2 print(stack) retData = peek() print("top의 데이터 확인 -->", retData) print(stack)
결과 보기
['커피', '녹차', '꿀물', None, None] top의 데이터 확인 --> 꿀물 ['커피', '녹차', '꿀물', None, None]
스택 완성
def isStackFull()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SIZE-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isStackEmpty() : global SIZE, stack, top if (top == -1)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def push(data) : global SIZE, stack, top if (isStackFull()) : print("스택이 꽉 찼습니다.") return top += 1 stack[top] = data def pop() : global SIZE, stack, top if (isStackEmpty()) : print("스택이 비었습니다.") return None data = stack[top] stack[top] = None top -= 1 return data def peek() : global SIZE, stack, top if (isStackEmpty()) : print("스택이 비었습니다.") return None return stack[top] SIZE = int(input("스택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 stack = [ None for _ in range(SIZE) ] top = -1 if __name__ == "__main__" :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 while (select != 'X' and select != 'x') : if select=='I' or select =='i' : data = input("입력할 데이터 ==> ") push(data) print("스택 상태 : ", stack) elif select=='E' or select =='e' : data = pop() print("추출된 데이터 ==> ", data) print("스택 상태 : ", stack) elif select=='V' or select =='v' : data = peek() print("확인된 데이터 ==> ", data) print("스택 상태 : ", stack) else : print("입력이 잘못됨") select = input("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 print("프로그램 종료!")
결과 보기
스택의 크기를 입력하세요 ==> 5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커피 스택 상태 : ['커피',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녹차 스택 상태 : ['커피', '녹차',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I 입력할 데이터 ==> 꿀물 스택 상태 : ['커피', '녹차', '꿀물',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V 확인된 데이터 ==> 꿀물 스택 상태 : ['커피', '녹차', '꿀물',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 (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꿀물 스택 상태 : ['커피', '녹차',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녹차 스택 상태 : ['커피',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하나를 선택 ==> E 추출된 데이터 ==> 커피 스택 상태 : [None,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나를 선택 ==> E 스택이 비었습니다. 추 된 데이터 ==> None 스택 상태 : [None, None, None, None, None] 삽입(I)/추출(E)/확인(V)/종료(X) 중 하나를 선택 ==> X 프로그램 종료!
728x90
728x90
'Computer Science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이중 연결 리스트(Doubly Linked List) (0) | 2022.07.12 |
---|---|
[C]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Linked List) (0) | 2022.07.12 |
[C] 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 (0) | 2022.07.12 |
[Python] 큐(Queue) (0) | 2022.07.01 |
[Python] 이진 탐색(Binary Search) (0) | 2022.06.29 |
[Python]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0) | 2022.06.29 |
[Python] 원형 연결 리스트(Circular Linked List) (0) | 2022.06.22 |
[Python] 단순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