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조건 명제

  • 앞 글에서 합성 명제를 구성하는 단순 명제에 대해 어떤 역할을 부여하지 않았다.
  • 그러나 단순 명제에 역할을 부여해 그 단순 명제의 역할이 무엇이냐에 따라 진릿값이 결정되는 합성 명제가 있는데, 조건 명제가 이에 해당한다.

 

조건 명제(Conditional Proposition : $p → q$) / 함축(Implication)

명제  `p, q` 에 대하여, 명제 `p` 가 전제(Premise) 또는 가정(Hypothesis)이고 명제 `q` 가 결론(Conclusion) 또는 결과(Consequence)인 명제

 

  •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다면, 지구의 계절은 바뀐다'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다(`p`)'와 `지구의 계절은 바뀐다.(`q`)' 라는 두 명제를 결합한 합성 명제이다.
    • `p` : 전제
    • `q` : 결론
  • 이처럼 전제결론의 관계로 결합된 합성 명제조건 명제라고 한다.
  • 조건 명제 `p → q` 를 표현하는 문장은 다음과 같다.
- `p` 이면 `q` 이다. (if `p`, then `q`)
- `p` 는 `q` 를 함축한다. (`p` implies `q`)
- `q` 일 경우에만 `p` 이다. (`p` only if `q`)
- `p` 는 `q` 이기 위해 충분하다. (`p` is sufficient for `q`)
- `q` 는 `p` 를 위해 필요하다. (`q` is necessary for `p`)

 

필요 조건과 충분 조건

 

조건 명제의 진리표
`p` `q` `p → q`
T T T
T F F
F T T
F F T

 

  • 조건 명제 `p → q` 는 전제 명제 `p` 가 참(T)이고 결론 명제 `q` 가 거짓(F)인 경우에만 거짓(F)이고, 그 외의 경우에는 모두 참(T)이다.

 

예제 : 조건 명제
  • '양궁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추면 점수는 10점이다.' 라는 조건 명제가 있다고 하자.
    • '양궁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춘다' : 명제 `p` (전제)
    • '점수는 10점이다.' : 명제 `q` (결론)
  • 전제결론을 이용하여 각 경우에 따른 조건 명제의 진릿값을 판별해보면 다음과 같다.
경우 설명 `p → q`
1 양궁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춰서(`p` 가 T), 점수가 10점(`q`가 T)이면 확실히 참(T) 상태이다.  참(T)
2 양궁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추지 않아도(`p` 가 F), 점수가 10점(`q`가 T)인 경우는 과녁의 정 가운데가 아니더라도 가장 작은 원 안에만 맞추면 10점이므로 참(T)이다. 참(T)
3 양궁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추지 않는 경우(`p` 가 F) 중, 점수가 10점이 아닌 경우(`q` 가 F)는 과녁에서 9점 이하인 영역을 맞추는 경우가 있으므로 참(T)이다.  참(T)
4 양궁 과녁의 정 가운데를 맞췄는데도(`p` 가 T) 점수가 10점이 아닌 경우(`q` 가 F)는 있을 수 없으므로 거짓(F)이다. 거짓(F)

 

  • 그러므로 전제에 해당하는 명제가 참(T)일 때, 결론에 해당하는 명제가 거짓(F)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조건 명제의 진릿값은 참(T)이다.

 

  • 조건 명제어떤 사실을 증명하거나 추론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이를 위해 조건 명제를 역, 이, 대우와 같은 형태의 명제로 변형할 수 있다.
명제 `p` 지구의 자전축은 기울어져 있다.
명제 `q` 지구의 계절이 바뀐다.
조건 명제 `p → q`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다면, 지구의 계절은 바뀐다.

 

역(Converse)

조건 명제 `p → q` 에 대하여, `q → p` 형태의 명제
  • 조건 명제 `p → q` 에서 전제 명제 `p` 가 결론이 되고, 결론 명제 `q` 가 전제가 되는 명제
  • `p → q` 의 역 `q → p` 는 다음과 같다.
`q → p` 지구의 계절이 바뀌면,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다.

 

이(Inverse)

조건 명제 `p → q` 에 대하여, $\neg p → \neg q$ 형태의 명제
  • 조건 명제 `p → q` 에서 명제 `p` 의 부정 $\neg p$ 를 전제로, 명제 `q` 의 부정 $\neg q$ 를 결론으로 하는 명제
  • `p → q` 에 대한 이 $\neg p → \neg q$ 는 다음과 같다.
$\neg p → \neg q$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지 않다면, 지구의 계절은 바뀌지 않는다.

 

대우(Contraposition)

조건 명제 `p → q` 에 대하여, $\neg q → \neg p$ 형태의 명제
  • 조건 명제 `p → q` 에서 명제 `p` 의 부정 $\neg p$ 가 결론이 되고, 명제 `q` 의 부정 $\neg q$ 가 전제가 되는 명제
  • `p → q` 에 대한 대우 $\neg q → \neg p$ 는 다음과 같다.
$\neg q → \neg p$ 지구의 계절이 바뀌지 않으면,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지 않다.

 

역, 이, 대우의 진리표
`p` `q` 조건 명제 대우
`p → q` `q → p` $\neg p → \neg q$ $\neg q → \neg p$
T T T T T T
T F F T T F
F T T F F T
F F T T T T
  • 명제와 대우 명제의 진릿값은 같다.
    • 명제를 이용하여 증명 또는 추론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대우 명제로 바꿔서 할 수 있다.

 

명제의 이와 역, 대우의 관계

 

쌍방 조건 명제(Biconditional Proposition : $p ↔ q$)

명제  `p, q` 가 모두 전제이면서 동시에 결론인 명제
  • 하나의 명제가 전제이면서 결론일 수 있는 합성 명제를 쌍방 조건 명제라고 한다.
  • 쌍방 조건 명제 `p ↔ q` 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p` 이면 `q` 이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if `p` then `q`, and conversely)
- `p` 는 `q` 의 필요 충분 조건이다. (`p` is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q`)

 

쌍방 조건 명제의 진리표
`p` `q` `p ↔ q`
T T T
T F F
F T F
F F T

 

$p ↔ q ≡ (p → q) \land (q → p)$

  • 쌍방 조건 명제는 다음과 같은 두 명제의 논리곱(AND)으로 표현할 수 있다.
    • $(p → q)$
      • 단순 명제 `p` : 전제
      • 단순 명제 `q` : 결론
    • $(q → p)$
      • 단순 명제 `q` : 전제
      • 단순 명제 `p` : 결론
$$p ↔ q ≡ (p → q) \land (q → p)$$

 

 

증명 진리표

$p$ $q$ $p ↔ q$ $p → q$ $q → p$ $(p → q) \land (q → p)$
T T T T T T
T F F F T F
F T F T F F
F F T T T T

 

728x90
728x90